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이민찬 기자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'마지막 0000' 전직 국무총리 얼굴들이 보이는데, 뭐가 마지막이라는 거죠? <br><br>문재인 정부 마지막 국무총리 얘기입니다. <br><br>Q. 대선이 1년도 남지 않았는데요.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임명되면 문 대통령과 남은 임기를 함께 한다고 봐야겠죠? <br><br>청와대는 개각을 하며 국정의 안정적 마무리를 강조했는데요. <br> <br>야당은 꼭 그렇게 생각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. <br><br>원희룡 제주지사는 SNS에 김 후보자가 정책 방향을 수정하고 강성 지지층을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, 문 대통령이 안 바뀔 것 같다며 김 후보자가 이 정부 마지막 총리가 아닐지 모르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인사청문회가 열리기도 전에 찬물을 끼얹은 겁니다. <br><br>Q. 원 지사는 백신 대란 와중에 정세균 전 총리가 퇴임한 것도 비판했는데요. 정 전 총리가 논란을 자초한 측면이 있어요. <br><br>통상 국무위원은 후임자 취임 직전까지 자리를 지키는 게 관례죠. <br> <br>그런데 이번엔 개각 당일 퇴임하면서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총리 직무대행을 맡았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내일 국회 대정부질문이 시작된다는 점을 들며 공세를 펴고 있습니다. <br><br>[홍남기 / 국무총리 직무대행]<br>당분간 제가 총리 직무대행으로 중대본회의를 주재하게 됐습니다. (국정에) 한 치의 공백도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… <br> <br>[배준영 / 국민의힘 대변인]<br>국정과 국민에 대한 전례없는 무책임이요. 입법부 무시입니다. 행정공백은 불보듯 뻔하고 그 피해는 오롯이 국민의 몫일 겁니다. <br><br>홍 부총리 역시 김 후보자가 취임하면 교체 가능성이 높다 보니 논란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런 상황을 감안한 듯, 김 후보자는 오늘도 낮은 자세를 보였습니다. <br><br>[김부겸 / 국무총리 후보자]<br>여러가지 준비한 것이 부족하기 때문에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. 잘 부탁드립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소환된 토착왜구' 토착왜구란 단어가 정치권에 다시 나왔네요? <br><br>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인 우원식 의원이 자생적 친일파를 의미하는 이 단어를 다시 꺼냈습니다. <br><br>우 의원은 SNS에 "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마저 옹호하는 토착왜구에 분노를 느낀다"며 "친일잔재 청산을 다짐한다"고 적었습니다.<br><br>Q. 토착왜구, 그 동안 여당이 야당을 공격할 때 쓰던 단어잖아요? <br><br>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이해찬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] (2020년 4월 / '김어준의 다스뵈이다') <br>(야당이) 지금까지 해온 게 전부 다 발목잡기, 토착왜구 그런 것 아닙니까. <br><br>Q. 당 대표 경선 기간 이 단어를 다시 소환한건 지지층 결집을 위해서겠죠?<br> <br>그런데 민주당 일각에선 경쟁자인 홍영표 의원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옵니다. <br> <br>우 의원이 자신은 독립운동가 후손이라고 강조했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반면 홍 의원의 조부는 일제시대 중추원 참의를 지냈습니다. <br> <br>우 의원 측은 "국민 생명과 안전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선 안 된다고 지적한 것"이라며 홍 의원 겨냥설에 선을 그었습니다. <br><br>Q. 당 대표 후보 사이에서 때 아닌 계파 논쟁도 일고 있어요? <br><br>송영길 의원 발언 들어보시죠. <br><br>[송영길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(그제, KBS 라디오 '최경영의 최강시사') <br>홍영표 의원님은 부엉이모임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원식 의원님은 민평련이라는 모임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까? <br><br>자신은 특정 계파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건데요. <br><br>우원식 의원은 "분열주의가 송 의원의 선거 기조냐"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.<br> <br>오늘 정견발표에서 세 후보 모두 통합을 강조했는데요. <br> <br>정치인은 말을 실천으로 옮길 때 제대로 평가 받을 겁니다. <br><br>Q. 민주당 전당대회가 이제 2주 남았는데, 그때까지 누가 실천을 잘하는지도 지켜봐야겠네요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